들어가며 최근 업계에 생성형 AI가 도입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개발 품질을 유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그에 반해 QA의 품질 ...
기술 블로그 모음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모아보세요


DASH는 글로벌 IT 업계의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데이터 중심 시대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핵심 플랫폼인 데이터독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DevOps, AI…

안녕하세요. 무신사(29CM) QA Engineer 홍해진입니다.오늘은 저의 QA 로 지냈던 과거를 돌아보며 Engineering이 QA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호환성 테스트를 하던 시절저는 보안솔루션 회사의 QC 팀으로 입사하여 QA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당시 제 주 업무는 폭포수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IT 개발 프로세스에서, ...

Fail률 감소 목표 집요하게 달성하기 — Android UI 자동화안녕하세요. 29CM QA Engineer 홍해진입니다.29CM QA팀에서는 모바일 앱 배포전 BVT(Build Verification Test : 빌드 검증 테스트)로 UI 자동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Android UI 자동화를 만들며 겪었던 크고 작은 문제들 중 일부와 해결을 위한...

안녕하세요 29CM에서 QA팀을 맡고 있는 박현준 입니다.얼마전 제3회 QA Korea Conference에서 정다정님이 “자동화의 신뢰성(정확도)을 높이기 위해 한 액션” 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해주셨는데 그 내용에 추가적인 내용으로, 액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어떤 준비가 되어있었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이미 많은 QA조직에서 시...

이 아티클에서는 구글 제미나이의 실수와 같이 생성형 AI로 인한 문제에 직면하기 전에 기업들이 AI 가드레일을 마련하고 책임감 있는 AI를 구축하도록 안내합니다.

안녕하세요. Data Platform Dev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운영하며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이현규입니다. 제가 운영하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약 800대 규모로 주로 사내 ...

이 아티클에서는 현재 양자 컴퓨터가 어느 단계에 와있고, 앞으로 슈퍼컴퓨터를 대체할 수준으로 변화 가능한지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합니다.
BigQuery에서 LLM 모델 Gemini Pro 활용법 소개

안녕하세요, Tech Data AI검색팀 소속 권순철입니다! AI검색팀은 주로 “고객에게 좋은 쇼핑 경험을 주기 위한 프로덕트 분석”, “많은 상품/셀러를 개인에게 맞게 제공하는 검색/추천 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한 마케팅 최적화”라는 어렵지만 재밌는 주제들을 선정한 후 데이터로 풀고자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중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마...

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투자 환경을 통해 빅테크 기업들이 왜 일본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한국은 어떻게 글로벌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지 간략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목차 소개 개선 목적 차량재배치 설명 카프카 스프링으로 변경된 아키텍처 및 코드 설명 4.1. 기존 코드 설명 4.2. 책임분리 테스트코드 작성 리팩터링과 전략패턴 마무리 1. 소개 안녕하세요. 쏘카 서비스 엔지니어링본부 애셋(Asset)팀 백엔드 개발자 원스톤입니다. 저는 쏘카 존과 차량 도메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속 성장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안녕하세요. Vertical Engineering 팀의 이지민입니다.지마켓의 여행 플랫폼은 작년에 포스팅한 오픈마켓에서 여행 플랫폼으로 살아남기에서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 여행 플랫폼은 지마켓의 커머스 시스템과 OTA(온라인 여행사 제휴업체) 서버의 API를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처럼 여러 서버와 의존성이 높아, 서비스의 복잡도가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UIT 팀 윤혜린입니다. LY Corporation Group에서는 헤드리스 CMS인 LandPress Content를 사내 임직원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기요 Search Platform 팀의 정승한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검색엔진의 Analyzer, 형태소 분석기 ≠ 토크나이저’를 소개해 드렸다면, 이번 글에서는 ‘형태소 분석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요기요 검색에서 사장님들이 본인의 가게가 특정 키워드로 검색되지 않아 문의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검색엔진에 해당 가게의 문서가...

안녕하세요. Mobile Application 팀 전계원입니다. 어느 날 Android 개발 중 jcenter 에 있는 경고 문구를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궁금증을 가지고 jcenter 와 관련하여 찾아본 이런저런 내용들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0. 프롤로그 - jcenter() 코드에 그어진 한 개의 줄 Android S...

안녕하세요, 29CM 주문배송팀에서 일하고 있는 무신사 백엔드 엔지니어 윤영식 입니다. 저희 팀은 여러분께서 주문하신 상품을 더 빨리 받아볼 수 있도록 출고 속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기능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출고 일정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인 출고준수율을 정의하고, 이를 계산하는 기능을 개발하며 발생한 문제를 해...

누가 내 쿠키를 먹었을까? 왜 iOS 웹뷰의 세션쿠키가 사라졌을까? 안녕하세요. 쏘카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리우입니다. iOS 웹뷰에서만 세션쿠키가 갑자기 소실되는 현상을 마주한 적이 있나요? 해당 문제가 무엇이고,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실제로 겪은 사례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서 세션쿠키는 Expires 또는 Max-A...

이 글에서는 개발자가 코드를 명확하고 단순하게 유지하고, 천천히 진행하며, 긴 안목으로 바라보는 습관을 유지하기를 조언합니다.

안녕하세요 Data Product 팀 박상우입니다. 이번에 제가 소개해드릴 내용은 팀 내 session Info data 적재 및 API 서비스 구축에 적용한 Redis Stream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저희 팀에서는 User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montelena receiver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 ...
서버리스 Airflow를 쿠버네티스 환경으로 전환하며 경험한 삽질들

Figma는 기존의 다른 툴과 비교했을 때 가볍고 다양한 플러그인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글은 디자이너 시각으로 Figma의 장점을 업무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ChatGPT와 Figma 공식 문서를 참고해 Figma 플러그인을 제작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The post Figma 플러그인, 디자이너가 직접 만들어 보기 appea...

2023년 7월 포춘 500대 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79%는 생성형 AI가 운영 효율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이 글은 아테나헬스, 뉴욕생명보험, 톰슨로이터를 통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기존에는 TinyPNG로 직접 이미지용량을 줄여서 앱/웹에 넣었었습니다.GitHub Actions를 이용해서 자동화 했습니다.아주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사실상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헤이딜러 안드로이드팀 박상권입니다.앱이나 웹을 개발하면서 아이콘이나 이미지를 넣는 경우가 많을텐데요.저희 팀에서는 100kb이상인 이미지가 앱에 추가될때마...

안녕하세요. 리뷰커뮤니티 스쿼드의 백엔드 개발자 소보르빵🍞 입니다! 여러분은 올리브영 셔터를 알고 계시나요? 건강한 아름다움을 리딩하는 플랫폼 올리브영이 운영하는 뷰티 특화 커뮤니티 Shutter…

챗봇이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많은 연구자들과 디자이너들이 챗봇을 인간과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최근에는 챗봇의 사용 목적에 따라 인간다움을 조절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위플래쉬를 피하기 위해 명확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고, 팀원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민첩성을 키우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와 AI 같은 도구를 활용해 보세요.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Security R&D 팀의 김도연, 김영현, 박경준, 후바인 찰스, 안상환입니다. Security R&D 팀은 LY 그룹 서비스의 전반적인 보안을 강화하기 ...

이전 포스트: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를 Golang으로 개발해보기 안녕하세요. Cloud Strategy팀 박규민입니다. 지난번에 Golang으로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를 간단하게 만들어 봤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무래도 Golang보다는 Java의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은데요. 이번 포스트로 ...

안녕하세요. Web Frontend팀 이민하입니다. 지난 편에서 꿀템 서비스를 기획하고 필요한 개념들의 이름을 지어주며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해 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어떤 기술 스택을 선택했는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술 스택 선택과 개발 External 망에는 기존에 BSD 프론트엔드 영역 어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