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블로그 모음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모아보세요

인공지능 역사에 있어서 슈퍼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에 대한 기대는 희망이 가득했으며 전문가들도 많이 언급해 왔습니다. 첫 황금기인 1950년 Marvin Minsky도 20년 내에 AI가 인간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을 했지만, 60년이 지난 지금도 슈퍼 AI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몇십 년일지 몇백...

디지털마케팅 컨설팅 부문은 컨설턴트의 직무를 재정의하면서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조직의 컨설턴트들은 과감하면서도 섬세해야 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미시적인 접근에 능해야 합니다. 즉,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하고 때로는 직접 나무를 심거나 가지치기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결코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디지털마케팅 컨설턴트는 과감하면서...

제이쿼리는 웹사이트에 자바스크립트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입니다. “write less, do more(적게 작성하고, 많은 것을 하자)”라는 모토로 2006년 미국의 SW 개발자 존 레식(John Resig)이 발표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AI PLUS 테크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지난 7일, 많은 분의 관심 속에서 진행된 <AI PLUS 2020> 컨퍼런스 현장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작년과 다르게 온라인 컨퍼런스로 진행되었는데요! 약 1500명의 사전등록자분들이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통해 참가해주셨습니다! 먼저 이...

우리가 Data-Driven 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는 과연 어떤 가치관과 고민, 그리고 노력이 깃들어 있을까요? 구성원들이 일하는 환경 곳곳에 데이터가 ‘제대로’ 흐르게 만드는 엔지니어들, ‘데이터플랫폼셀’의 이야기를 지금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2019년 12월 처음으로 보고되었던 코로나바이러스는 어느덧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바꾸어 놓았으며, 이 새로운 코로나 시대 대응의 핵심은 “스피드와 적응력”이라고 많은 사람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 어떠한 분야보다 사회 이슈와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악성코드 제작자 또한 코로나 시대에 빠르게 적응을 하고 있습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엔터프라이즈 프레임워크는 기업의 비즈니스 도메인(금융, 제조, 통신 등)에서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삼성SDS의 오픈소스 기반 Java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인 애니프레임(Anyframe)을 들 수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프레임워크는 2000년대 초반 메인프레임(Mainframe)을 유닉스(Uni...
안녕하세요 뱅크샐러드 데이터 파운데이션의 실험 플랫폼 팀 Product Manager…

안녕하세요, AI PLUS 테크블로그입니다. 오늘은 NER의 개념을 살펴보고, 포털에서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 NER 이란? NER은 Named Entity Recognition의 약자로, ‘개체명 인식’을 의미합니다. 개체명 인식이란 비정형 텍스트의 개체명 언급을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인명, 지명, 시간 등)로 분류하...

안녕하세요, AI PLUS 테크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이스트소프트와 자회사 줌인터넷, 이스트시큐리티가 총 100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정부 사업을 수주한 소식을 전달드리려고 합니다. 이스트소프트와 자회사가 수주한 AI 사업은 정부가 앞선 7월 발표한 ‘디지털 뉴딜’ 과제 중 하나인 ‘데이터 댐’ 구축과 ‘AI 바우처 지원’ 사업 등인데요. 먼저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역성장 추세에 있습니다. 심지어 코로나가 종식되더라도 경제적 위기가 지속되고 회복기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재무는 미래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일렉트론은 노드JS(Node.js)를 기반으로 자바스크립트, HTML, CSS를 사용하여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2013년 아톰 쉘(Atom Shell)이라 불리는 크로스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쉘로 시작하였으며 오픈소스화, 명칭 변경 등을 거쳐 현재 깃허브(GitHub)에 의해 개발되고 있습니다. 윈도우(Windows)...

안녕하세요, 이스트소프트 AI PLUS 기술블로그입니다. 오늘은 10월 7일(수), '언택트'로 진행되는 인공지능 기술 컨퍼런스 <AI PLUS 2020>에 대해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 AI PLUS 2020 은? 'AI PLUS'는 이스트소프트가 주최하는 인공지능 기술 컨퍼런스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진행되는데요!이번 AI P...

우리가 흔히 ‘검색’이라고 부르는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분명히 존재함에도 있다는 의식을 잘 하지 않은 물과 공기처럼, 정보검색 기술은 이미 기술이 아닌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3년 전에 보낸 이메일을 찾고, 스마트폰으로 맛집을 찾고, 장터에서 원하는 기능의 앱을 찾는 등의 ...
뱅크샐러드는 앱 출시 이후 약…

들어가며 대부분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거대한 서비스 형태로 개발되어 왔습니다. 모놀리식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로 불리는 이 구조는 개발·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스템 규모가 커질 경우 복잡도도 증가해 코드의 이해와 분석이 어려워지고 작은 수정사항에도 전체를 빌드·배포해...

안녕하세요! 최근에 포털개발팀에서 Zum NewTab 이라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4월부터 8월까지의 확장프로그램을 개발, 배포, 검수하는 과정에서의 삽질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1. 프로젝트 개요 크롬 확장프로그램 확장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브라우징 경험을 긍정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작은 소프트웨어입니다. 이를 통해 사...

코로나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변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비대면·비접촉 소비, 온라인 수업, 재택 근무 등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 빠르게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예기치 않게 등장한 코로나는 디지털 환경에 대한 빠른 적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개인, 학교, 기업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구조적인 변화를 가속하고 있습니다. \"사...
성능 테스트로 데드락을 찾아 없애고 TPS를 끌어올리자!
![[Windows 컨테이너] 4: 베이스 이미지, 격리 방식에 대한 이해](https://tech.devsisters.com/static/7fcdb5cdf2886fc4729e804e30d2f25c/f3cf6/container-arch-process.png)
Windows 컨테이너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사용할 때 알아야 할 베이스 이미지, 격리 방식을 짚어보고, 실제로 사용할 때 고민해야 할 내용들을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이스트소프트 A.I. PLUS Lab입니다. 지난 ICLR 2020에 이어, 이번 ICML 2020에서도 이스트소프트가 논문을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CML 2020에서 발표한 “Being Bayesian about Categorical Probability(범주형 확률에 대한 베이지안 방법론)” 연구에 대해 간단히 소개...

기준정보(Master Data)는 2000년대 들어 확산된 개념으로 ERP 구축 및 프로세스 혁신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시작했습니다. 전통적 의미의 기준정보는 설비·부품·고객·벤더 등과 같이 기업 활동의 근간이 되는 핵심 데이터를 지칭하며 MDM(Master Data Management, 기준정보관리) 시스템에서 운용되면서 주변 정...
주문서비스 개발팀이 선물하기 서비스를 오픈하기 까지 여정

많은 조직들이 그러하듯, HR은 시대의 흐름에 맞춰 끊임없이 변화를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HR은 과거와 다르게 완전히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요구받고 있으며, 그것은 Digital HR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사실 HR의 Digitalization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된 것입니다. HR은 과거 임직원 정...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가 종식되어도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고 합니다. New York Times의 컬럼니스트인 Thomas L. Friedman은 앞으로 세계의 역사는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물리적 결합이 중심이었다면, 이후에는 디지털 융합이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는 우리가 예상했던 ...

고객별로 통합된 데이터를 분석·관리하는 것에 의미를 둔 Single Customer View 개념이 몇 해 전부터 디지털마케팅 업계에서 다시 조명받고 있습니다. 사실 '통합된 고객정보 관리' 키워드가 등장한 것이 어제 오늘 일은 아닙니다. 90년대에 뜨거운 화두였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 관리) 역...

인터넷은 상용화된 지 30년이 채 안 되었지만, 전 세계 인구의 60%에 달하는 46억 명이 사용하면서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급속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과 웹브라우저(Web browser)의 역할이 컸습니다. 웹브라우저는 HTML로 작성된 웹페이지를 읽을 ...

기존 배포 전략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자동 배포 전략을 실제 게임 서비스에 도입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Banksalad Product Language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뱅크샐러드의 iOS개발자 류성두입니다. 오늘은 뱅크샐러드가 UI를 디자인하고 구현하는 방식의 큰 기둥인 BPL, 즉 Banksalad Product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