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최근 몇 년간 생성 모델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혁신적인 도구로 부상하며 연구자와 산업 리더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생성 모델은 딥러닝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고품질...
기술 블로그 모음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모아보세요


안녕하세요. LINE Plus Tech Content Strategy 팀 하성창입니다. 저희 팀은 테크니컬 라이터로 구성돼 있으며, LINE Plus에서 개발한 다양한 플랫폼의 기...

안녕하세요. 커뮤니케이션 앱 LINE의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 Ishikawa입니다. 저희 회사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 및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LINE+ UIT 조직에서 프런트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 강형민입니다. LY에서는 매년 'Front-end Global Workshop'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

요즘 우리나라는 어느 회사든 글로벌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분야에서 우리나라 시장은 가파른 속도로 축소될 전망이므로 해외 진출은 하고 싶은 것이 아닌 할 수밖에 없...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Enablement Engineering 팀에서 SRE(site reliability engineer)로 일하고 있는 어다희입니다. 저희 팀은 LINE 서비스...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사이트 안정성 엔지니어링) 업무를 맡고 있는 Enablement Engineering 팀 어다희,...

LLMOps란 무엇인가요? 최근 GPT-4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이하 LLM)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이 활발히 개...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Game Platform Dev의 류동훈, Zhang Youlu(Michael), Takenaka, 이형중입니다. 저희 조직은 게임 퍼블리싱에 필요한 다양한 ...

안녕하세요. 커뮤니케이션 앱 LINE의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 Ishikawa입니다. 저희 회사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 및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

안녕하세요. LINE Plus ABC Studio 기획자 한영주입니다. 저는 일본 최대 규모의 배달 서비스인 데마에칸(Demaecan, 出前館) 앱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배...

안녕하세요. 커뮤니케이션 앱 LINE의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 Ishikawa입니다. 저희 회사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 및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

안녕하세요. LINE Plus ABC Studio에서 일본 음식 배달 서비스 Demaecan(出前館, 이하 데마에칸)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고, 사용자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을 수 ...

안녕하세요. 커뮤니케이션 앱 LINE의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 Ishikawa입니다. 저희 회사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 및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

안녕하세요. 커뮤니케이션 앱 LINE의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 Ishikawa입니다. 저희 회사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 및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

들어가며 LINE Plus의 MPR(Mobile Productive & Research) 팀은 LINE 클라이언트 앱의 빌드 개선과 CI 파이프라인 관리, 자동화 지원 등의 업무를...

지난 2편에서는 가상 스레드(virtual thread)의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 알아봤습니다. 마지막 3편에서는 ...

들어가며 지난 1편에서는 가상 스레드(virtual thread)의 장점을 살펴보고 가상 스레드를 어떻게 생성하고 시작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컨텍스트 스위칭(c...

들어가며 Java의 가상 스레드(virtual thread)는 효율적인 동시성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설계된 경량 스레드입니다. 기존의 Java 스레드 모델과 비교해 더 적은...

안녕하세요. HBase 팀 이욱입니다. 저는 16년간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로 일해 왔습니다. DBA(database administrator)의 업무에는 다양한 작업이 있으며, 그...

안녕하세요. 커뮤니케이션 앱 LINE의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고 있는 Ishikawa입니다. 저희 회사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 및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

LY Corporation의 개발 조직에서는 높은 개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드 품질과 개발 문화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여러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그중 하...

안녕하세요. LINE Plus ABC Studio에서 앱 개발을 하고 있는 김종식, 최정연, 박유진입니다. 저희 팀은 Flutter를 활용해 일본에서 운영하는 배달 서비스인 '데마...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LINE GAME PLATFORM Dev2 팀의 이현섭, 이형중입니다. LINE GAME PLATFORM에서는 게임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

LLM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어려움 GPT-4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이하 LLM)이 대중화되고 이를 활용한 LLM 애플리케이션 역시 다양...

안녕하세요. LINE 앨범과 공유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Android 엔지니어 정우진, Product UX 조직에서 공통 UX를 담당하는 디자이너 정승희입니다. 저희는 지난 9월...

안녕하세요. 저는 LINE+ ABC Studio에서 앱을 개발하고 있는 윤기영입니다. 최근 운영 중이던 앱의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기존 구조로는 앱을 유지 보수하거나 확장하기 어려...

이 글은 LINE Engineering Blog에 발행했던 글을 LY Tech Blog로 재발행하였습니다. 서비스 소개 '데마에칸(出前館)'은 200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LINE NEXT DevOps 팀에서 쿠버네티스 운영 및 유지 보수, CI/CD 구축, 모니터링, 로그 수집 등 인프라 전반에 걸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이동...

안녕하세요. 일본 최대 규모의 음식 배달 서비스 Demaecan(出前館, 이하 데마에칸) 프로덕트를 담당하는 김영재라고 합니다. 어느덧 프로덕트를 쇄신한 지 2년 반이 되어가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