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블로그 모음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모아보세요

전체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브옵스 AI 아키텍처 DB 기타
Figma 플러그인, 디자이너가 직접 만들어 보기
넷마블
Figma 플러그인, 디자이너가 직접 만들어 보기

Figma는 기존의 다른 툴과 비교했을 때 가볍고 다양한 플러그인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글은 디자이너 시각으로 Figma의 장점을 업무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ChatGPT와 Figma 공식 문서를 참고해 Figma 플러그인을 제작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The post Figma 플러그인, 디자이너가 직접 만들어 보기 appea...

실행 시간 효율을 위한 클래스 데이터 공유(CDS)와 Layered Jar
넷마블
실행 시간 효율을 위한 클래스 데이터 공유(CDS)와 Layered Jar

자바는 바이트코드 형태로 패키징돼 JVM을 통해서 실행 환경에 맞는 기계어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쳐 실행됩니다. 그렇기에 JVM이 설치된 곳이라면 어디든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장점은 동시에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실행 환경에 맞춰 변환하기 위해 많은 시간... The post 실행 시간 효율을 위한 클래스 데이터 공유(CDS...

리스와 헤이즐캐스트로 구성한 쿠버네티스 파드 클러스터링
넷마블
리스와 헤이즐캐스트로 구성한 쿠버네티스 파드 클러스터링

쿠버네티스에서는 개별 파드에서 발생한 데이터가 주변 파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기본 구성입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필요하다면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pache Camel과 헤이즐캐스트와 같은 오픈 소스들은 이미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클러스터링 절차에... The post 리스와 헤이즐캐스트로 구성한 쿠버네티스 파드 클러스터링 ...

검은 토끼(2023년)와 이별을 준비하는 넷마블 기술 블로그
넷마블
검은 토끼(2023년)와 이별을 준비하는 넷마블 기술 블로그

드디어 2023년 마지막 주네요. 다들 2023년 마무리 잘하고 계신가요? 넷마블 기술 블로그의 2022년 회고글인 생후 400일을 넘긴 넷마블 기술 블로그 육아일기를 다시 보면 감회가 새롭습니다. 넷마블 기술 블로그의 컨셉이나 초기 이야기는 작년 회고글에서 풀었으니, 그 후의... The post 검은 토끼(2023년)와 이별을 준비하는 넷마블 기술...

워드프레스 백업과 복원은 웹 파일과 DB를 한 쌍으로 맺어야 한다
넷마블
워드프레스 백업과 복원은 웹 파일과 DB를 한 쌍으로 맺어야 한다

1년에 4번 정도 마주치는 워드프레스 업데이트 테스트 상황에 조금 더 편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다만, 편하게 만나는 환경에 직면한 작업자는 저를 포함해 극소수밖에 되지 않아, 단순히 시간 효용을 계산하자면 큰 이득을 얻진 못했다고도 볼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업데이트 테스트를... The post 워드프레스 백업과 복원은 웹 파일과 DB를 한 쌍으로...

[여기보기] 적절한 식습관과 운동을 유지하듯 건강하게 WAS 로그 관리하기
넷마블
[여기보기] 적절한 식습관과 운동을 유지하듯 건강하게 WAS 로그 관리하기

WAS의 로그는 적절한 레벨과 포맷으로 관리해야 WAS가 보안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저장 공간을 사용해 로그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로그 디렉터리나 파일을 누구나 열람할 수 없게끔 적절한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WAS 로그 관리법을 이야기합니다. The post [여기보기] 적절한 식습관과 운동을 유지하듯 건강하게 WAS 로그 관리...

CPU 이용률의 두 가지 얼굴 – CPU 코어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
넷마블
CPU 이용률의 두 가지 얼굴 – CPU 코어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

게임이나 서비스를 출시할 때 '성능 최적화'를 이끌어 낸 서버란, 주어진 장비 스펙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서버를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CPU 이용률을 단순하게 고민하셨던 분이라면 서버 성능 최적화를 위한 더 디테일한 성능 측정을 해보면 어떨까요. The post CPU 이용률의 두 가지 얼굴 – CPU 코어 사용량(Us...

쿠버네티스가 스프링부트 3.0 네이티브 이미지를 만났네
넷마블
쿠버네티스가 스프링부트 3.0 네이티브 이미지를 만났네

네이티브 이미지 배포 방식 적용 전후를 되돌아보면, 50초였던 기존 프로그램 실행시간은 2초로 줄었습니다. 신규 파드를 추가할 때 사용하는 도커 이미지 크기는 기존 JAR 기반에서는 300MB였지만, 이제는 70MB 정도로 줄었습니다. 방식 자체를 바꾼 결과가 수치로도 큰 차이가... The post 쿠버네티스가 스프링부트 3.0 네이티브 이미지를 만...

[여기보기] 링크 설정과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넷마블
[여기보기] 링크 설정과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WAS에는 불필요한 시스템 권한을 획득하거나 시스템의 과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소가 있습니다. 중요 시스템 파일에 접근해 보안 문제가 발생하는 심볼릭 링크 사용과 다운로드나 업로드를 반복해 서버에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하게 만드는 문제입니다. The post [여기보기] 링크 설정과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꺾이지...

제목 스타일 단계는 문서 구조의 기둥과 보
넷마블
제목 스타일 단계는 문서 구조의 기둥과 보

“제목”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각 용도에 맞춰서 너무 구속받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제목은 딱 시점을 지정할 수 없는 과거부터 흔하게 써온 대표 양식입니다. 쓰는 위치나 목적에 따라 표제, 대제, 중제, 소제, 원제, 부제 등 종류도... The post 제목 스타일 단계는 문서 구조의 기둥과 보 appear...

[여기보기] WAS의 정보는 개인정보 다루듯이 보호하라
넷마블
[여기보기] WAS의 정보는 개인정보 다루듯이 보호하라

WAS의 정보는 보안 입장에서 개인정보와 같은 개념입니다. WAS 종류, 버전, 서버 운영체제 정보 등은 기본 설정 그대로를 사용하면 은연 중에 노출됩니다. 그리고 알려진 취약점을 이용해 공격자가 WAS에 문제를 일으키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WAS의 정보가 담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The post [여기보기] WAS의 정보는...

30분만 투자하면 사용하는 API 문서 검색 엔진, Doxygen 외부 검색 설정하기
넷마블
30분만 투자하면 사용하는 API 문서 검색 엔진, Doxygen 외부 검색 설정하기

Doxygen에서 생성한 API 문서 그대로를 사용하려다 보면 기본으로 제공하는 서버 기반 문서 검색 기능에 좀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파치 HTTP 서버와 NGINX를 이용해 Doxygen의 외부 검색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 몇 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The post 30분만 투자하면 사용하는 API 문서 검색 엔진, Doxygen 외부...

[여기보기] DNS 점검 요망?! “홍대 어떻게 가요? 뉴진스 하입보이요~🎧🕺💃”
넷마블
[여기보기] DNS 점검 요망?! “홍대 어떻게 가요? 뉴진스 하입보이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작업하는 대부분은 DNS 서버 자체가 아닙니다. DNS 서버로 접속해서 쓰는 DNS 클라이언트가 내장된 VM이나 애플리케이션이죠. 그래서 DNS 관련 보안 사항은 동작 방식을 기준으로 DNS 클라이언트와 DNS 서버로 나눠서 봐야 합니다. DNS 클라이언트란... The post [여기보기] DNS 점검 요망?! “홍대 어떻게 가요?...

잠깐 20초만 한눈을 팔면, 멈춰 서는 WSL
넷마블
잠깐 20초만 한눈을 팔면, 멈춰 서는 WSL

nohup은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터미널 세션이 종료돼도 해당 프로세스가 계속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뒤에 &를 붙여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워셸의 Start-Process를 실행하면서, WindowStyle Hidden 옵션을 붙여... The post 잠깐 20초만 한눈을 팔면, 멈춰 서는 ...

[여기보기] 적에게 내 WAS의 디렉터리와 파일을 알리지 말라, WAS 디렉터리 인덱싱 및 상위 디렉터리 접근 제한
넷마블
[여기보기] 적에게 내 WAS의 디렉터리와 파일을 알리지 말라, WAS 디렉터리 인덱싱 및 상위 디렉터리 접근 제한

공개 배포해야 하는 파일이 많은 서비스가 아니라면 WAS의 디렉터리 구조는 노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번에는 WAS에서 디렉터리 인덱싱 취약점을 노출하지 않는 방법과 노출해야 하더라도 상위 디렉터리에 이동 제한을 설정해 접근할 수 없게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The post [여기보기] 적에게 내 WAS의 디렉터리와 파일을 알리지 말라, W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