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Cloud for AI는 GPU 장비들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GPU를 클러스터링하여 하나로 묶고 통합하여 활용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GPU를 통합하면 전체 가용량이 늘어납니다. 클러스터링 된 자원에 분배 기술을 적용하여 필요한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만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제공합니다. 또한...
기술 블로그 모음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모아보세요
![<small>[Technology Toolkit 2021]</small><br />GPU, 이젠 모자라지 않다!](https://static.teamblind.com/img/channel/logo/kr/6d491226862341.png)
![<small>[Technology Toolkit 2021]</small><br>데이터 줄게, 레이블링 (해)다오∼ Auto Labeling!](https://static.teamblind.com/img/channel/logo/kr/6d491226862341.png)
AI 모델의 성능은 학습에 사용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을수록 좋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레이블이 있는 수많은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수십만, 수백만 개의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레이블링하는 것은 엄청난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또한 잘못된 레이블이 있으면 AI 모델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레이블이 정확한지 검토하는 과정도 필요합니다....
![<small>[Technology Toolkit 2021]</small><br />복잡한 표도 이해하는 똑똑한 QA 모델](https://static.teamblind.com/img/channel/logo/kr/6d491226862341.png)
최근에는 전체 문서 중 질문에 대한 대상문서를 특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방향(오픈 도메인 QA)으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이전의 QA 시스템들은 질문과 함께 대상문서를 입력해야 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존 QA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주어진 질문에 대답하...
![<small>[Technology Toolkit 2021]</small><br /> 스마트한 텍스트 분석을 향한 첫걸음, KoreALBERT](https://static.teamblind.com/img/channel/logo/kr/6d491226862341.png)
2018년 구글에서 제안한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 from Transformers)는 위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량의 영어 데이터로 학습된 사전학습 언어 모델(Pre-trained Language Model)로 종합 언어 이해 태스크(GLUE) 및 기계독해 태스크(SQuAD v1.1, SQuAD ...

안녕하세요, AI PLUS Tech Blog입니다. 오늘은 줌인터넷에서 등록한 가짜뉴스 관련 특허에 대해 간단히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1. 가짜뉴스란? 먼저 특허 내용을 소개하기 앞서, 특허가 나오게 된 배경인 ‘가짜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짜뉴스’라고 하면 어떤 뉴스가 떠오르시나요? 아마 아래 <그림1>과 같이 거짓으로 꾸며진 뉴...

플레이 테스트 및 밸런싱 자동화 그리고 업데이트 방향성 설정까지, 강화학습을 통해 보다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나간 과정을 이야기해봅니다.

안녕하세요, AI PLUS Tech Blog입니다. 새해부터 기분좋은 소식으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바로 이스트소프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2020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에서 행동인지 트랙 1위를 하게 되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AI 챌린지가 낯선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해당 대회 소개 뿐만 아니라, 준비과정을 자세히...

안녕하세요, 지난 10월 7일 인공지능 기술 컨퍼런스 AI PLUS 2020이 개최되었습니다. 당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의 가상 축전 영상이 방송되면서 참가자들의 놀라움을 자아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상 축전 영상 제작에 사용된 AI 아나운서 기술의 개발기를 들려 드리겠습니다. 1. AI 아나운서 프...

안녕하세요. 이스트소프트 A.I. PLUS Lab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머신러닝의 학습 방법 중 하나인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SSL)에 대해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SSL 자체가 워낙 거대한 주제이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에서 전체적인 내용을 모두 다루기보다, 일부 방법론과 각 방법론에서 읽어 볼만한 주요 논문들을 소...

인공지능 역사에 있어서 슈퍼 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에 대한 기대는 희망이 가득했으며 전문가들도 많이 언급해 왔습니다. 첫 황금기인 1950년 Marvin Minsky도 20년 내에 AI가 인간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을 했지만, 60년이 지난 지금도 슈퍼 AI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몇십 년일지 몇백...

안녕하세요, AI PLUS 테크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지난 7일, 많은 분의 관심 속에서 진행된 <AI PLUS 2020> 컨퍼런스 현장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작년과 다르게 온라인 컨퍼런스로 진행되었는데요! 약 1500명의 사전등록자분들이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통해 참가해주셨습니다! 먼저 이...

안녕하세요, AI PLUS 테크블로그입니다. 오늘은 NER의 개념을 살펴보고, 포털에서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1. NER 이란? NER은 Named Entity Recognition의 약자로, ‘개체명 인식’을 의미합니다. 개체명 인식이란 비정형 텍스트의 개체명 언급을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인명, 지명, 시간 등)로 분류하...

안녕하세요, AI PLUS 테크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이스트소프트와 자회사 줌인터넷, 이스트시큐리티가 총 100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정부 사업을 수주한 소식을 전달드리려고 합니다. 이스트소프트와 자회사가 수주한 AI 사업은 정부가 앞선 7월 발표한 ‘디지털 뉴딜’ 과제 중 하나인 ‘데이터 댐’ 구축과 ‘AI 바우처 지원’ 사업 등인데요. 먼저 ...

안녕하세요, 이스트소프트 AI PLUS 기술블로그입니다. 오늘은 10월 7일(수), '언택트'로 진행되는 인공지능 기술 컨퍼런스 <AI PLUS 2020>에 대해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 AI PLUS 2020 은? 'AI PLUS'는 이스트소프트가 주최하는 인공지능 기술 컨퍼런스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진행되는데요!이번 AI P...

우리가 흔히 ‘검색’이라고 부르는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분명히 존재함에도 있다는 의식을 잘 하지 않은 물과 공기처럼, 정보검색 기술은 이미 기술이 아닌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3년 전에 보낸 이메일을 찾고, 스마트폰으로 맛집을 찾고, 장터에서 원하는 기능의 앱을 찾는 등의 ...

안녕하세요, 이스트소프트 A.I. PLUS Lab입니다. 지난 ICLR 2020에 이어, 이번 ICML 2020에서도 이스트소프트가 논문을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CML 2020에서 발표한 “Being Bayesian about Categorical Probability(범주형 확률에 대한 베이지안 방법론)” 연구에 대해 간단히 소개...

이스트소프트 A.I. PLUS Lab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최하는 <2020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에 참가했습니다. 저희는 지난 블로그 글을 통해 소개했던 메트릭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얼굴 인식 분야의 두 문제에 도전하였고, 해당 트랙에서 1위를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회 참가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

과거에 공장 자동화(Factory Automation)가 주된 전략이었던 세계 유수의 제조기업들도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응하면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지능형 제조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지능형 제조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AI, IoT, AR/VR 등의 디지털 기술을 개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영수증, 증명서, 계약서 등 다양한 문서를 접하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문서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최근 이러한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Document Understanding(문서 이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여러...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며 업무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직원들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해 회사 밖에서 업무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합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양이 늘어나게 되었고 기업 내 IT 부서들이 관리해야 할 데이터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조 시스템 센서, 지능형 CCTV 와 같은 최신 IoT 기기들로 인해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인공지능은 인텔리전트 엔터프라이즈를 활성화하는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데이터 처리 능력, 네트워크 연결, 딥러닝 알고리즘이 발달하면서 많은 기업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욱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인공지능을 더욱 활용하고 있습니다.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등극하면서 많은 기업이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역량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연장선에서 AI 기술이 각종 데이터 분석 업무에 있어 혁신적 성과를 보장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우수한 성과가 많을 것만 같은 AI의 실제 활용 ...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바꿔 놓았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라 야외 활동이 제한되고 자택에 체류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여행, 운송, 외식업은 큰 타격을 받았지만, 온라인 쇼핑, 배송 분야는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머신러닝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수학이론 중 하나인 고유값(Eigenvalue)과 고유벡터(Eigenvector)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는 선형대수(Linear Algebra)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이며 많은 머신러닝 이론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고유값과 고유벡터의 이론에 대해 알아본 후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차원축소 방법인 특이값 분해...
컬리에서도 소소하게 머신러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술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 2편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증강현실](https://static.teamblind.com/img/channel/logo/kr/6d491226862341.png)
증강현실에서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초창기에는 이를 해결하고자 마커 기반의 기술을 도입하였습니다. 미리 지정해 둔 특정표시를 인식하면 사전에 정의해 둔 반응이 실행되게 하는 것으로 마커를 통해 현실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가상 세계와 손쉽게 접목시킬 수 있습니다.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간의 시각적인 인식 능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보니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탐지하는 것은 컴퓨터 비전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입니다. 이 중 사람이 취한 자세를 인식하는 기술을 “휴먼 포즈 에스티메이션(Huma...

2019년도 NeurIPS 학회의 논문 통계를 공유합니다 본 문서는 2019년 12월에 개최되었던 NeurIPS 2019(the Thirty-third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에 게재된 논문들의 각종 통계 수치를 분석한 글입니다. Introduction NeurIPS는 세계 최고 권...

2012년 국제영상인식대회인 ILSVRC(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이미지넷)를 통해 심층학습(Deep Learning)의 성능이 학계 및 산업계에 입증된 이후, AI는 2차 암흑기(AI Winter)를 지나 다시 세간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으며, 2016년 이세돌 九단대 알파고의 대국을 ...

줌닷컴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 셀럽 NOW의 뉴스 분석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목차 Intro Query 문서 탐색 중복 이미지 제거 및 연관 이미지 클러스터링 뉴스 문서 정렬 결론 Reference 들어가기 전에 본 문서는 최근 줌닷컴에 런칭된 서비스 “셀럽NOW” 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셀럽NOW는 유명 연예인들의 뉴스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