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올리브영에서 Back-end 개발 업무를 맡은 달고나윤입니다. 현재 올리브영 전시파트는 기존 모놀로식 아키텍쳐에서 MSA…
기술 블로그 모음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 글을 한 곳에서 모아보세요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트렌비 백엔드 개발자 도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트렌비 리뷰 서비스 (review-service) 의 성능을 개선하게 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문제 상황 작년 11월경 리뷰 서비스가 런칭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즈니스가 점점 고도화되었고, 사용자와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아래와 같은 시스템 알럿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발생...

도입배경 트렌비 웹페이지는 react-boilerplate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래서 상태관리에 대해서도 보일러플레이트에서 사용한 리덕스(redux)를 그대로 사용해 왔습니다. 리덕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큰 문제는 없었으나, 개발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첫째, API를 호출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그리기 위해서 해야할 게 ...
React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적용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 상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한 경험을 소개합니다.

FE Lazy Loading 적용기 안녕하세요! 트렌비 Growth Marketing 개발팀의 FE개발자 이리입니다! 자세한 제 소개는 인터뷰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목차 개요 문제가 되는 부분은 어딜까? - 원인 분석과 해결책 찾기 Lazy Loading…? Lazy Loading을 적용하는 방법! 개선 후 결과 개요 트렌비의 세일스캐너 부분은 만족스...

올-하 💚 안녕하세요! 올디브에서 Front-end Engineer…

안녕하세요. 사람인 iOS 앱을 개발하고 있는 김은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2021년에 진행한 iOS 아이엠그라운드앱 리팩토링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들어가며 아이엠그라운드 앱은 사람인에서 제공하고 있는 이직을 돕기 위해 면접 대비, 입사 제안, 담당자와의 대화를 돕는 모바일 앱입니다. 아이엠그라운드 앱은 처음 개발할 때 애플에서 기본적으로 ...
안녕하세요! 뱅크샐러드에서 iOS…

리덕스(Redux) 리덕스(Redux)의 필요성 리액트(React)는 상태(State)를 가지고 어떻게 돔(DOM)으로 잘 변형할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상태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요소인데요.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질수록 상태 즉 데이터를 관리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상태를 잘 다루...

안녕하세요. 사람인HR 서비스인프라개발팀 안드로이드 앱 개발 담당 한동훈입니다. 해당 내용은 지난 2021년에 아이엠그라운드앱 구조개선을 위해 진행했던 앱리펙토링 공유하는 포스팅입니다. 필요성? 기존에 서비스중인 아이엠그라운드 앱은 MVC패턴구조로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습니다. 기존 문제점 MVC패턴을 사용하고 있어 Activity, Fragme...

입사하자마자 2달 만에 서비스 출시 한 썰 푼다. 안녕하세요. 저는 브랜디에서 3년 같은 4개월 차를 맡고 있는 개발자 김진실입니다. 브랜디에 입사한 지 어느 날이 좋은 이틀 차, 팀장님으로부터 광고 시스템을 1분기 안에 출시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 : 녜??? 잘 못 들었습니다?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많이 궁금하셨을 거로 생각합니다. ...

현재 UI 디자인 분야에서는 기존의 포토샵이 아닌 스케치(Sketch), 피그마(Figma), XD와 같은 전용 저작툴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스케치가 가지는 장점이 명확하지만 맥 전용이라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윈도우 환경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피그마가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UI 디자인 ...
안녕하세요! 뱅크샐러드에서 iOS…

GatsbyJS에서 l10n(지역화)를 진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fp-ts를 이용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곁들여서)
안녕하세요! 뱅크샐러드에서 iOS…
…

Overview 브랜디에서는 웹, 어드민(FMS 쪽)을 새로 제작할 경우 기존 서비스에서 만든 컴포넌트들을 최대한 활용하고, 기존에 없었을 경우 필요하면 새로운 컴포넌트를 제작하거나 스타일도 일일이 작업자가 직접 다 구현하는 형태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작년 8월에 셀피팀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일정이 빠듯하고 다들 입사하신 지 얼마 안 되...
안녕하세요, 포털개발팀 프론트파트의 신입 개발자 김선규 입니다. 이번 글은 파일럿 프로젝트로 진행하게 된 줌인터넷 댓글 모듈 개선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TL;DR JavaScript, jQuery 기반으로 이루어진 댓글 모듈 → Vue, TypeScript 로 개선 TDD(테스트 주도 개발)로 프로젝트를 진행 댓글 모듈 컴포넌트 사내 라이브러리 배포...
뱅크샐러드 웹 개발자는 무슨 일을 하나요? 뱅크샐러드 Web Front-End Engineer는 뱅크샐러드 앱 내에 들어가는 웹뷰부터 데스크탑 환경의 웹사이트 그리고 다양한 Internal Product…
본 포스트는 줌인터넷 포털개발팀 프론트엔드 파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 core package 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다시 한 달 만에 블로그 포스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저희 프론트엔드 파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zum-portal-core-js에 대해 다뤄볼 생각입니다. zum-portal-core-js 는 서비스를 만들 ...

2011년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표한 개발자 설문 조사의 웹 프레임워크 부문의 결과를 보면, 스벨트는 가장 사랑받는 프레임워크 1위, 가장 원하는 프레임워크 5위에 올라있습니다. 전 세계 개발자들이 스벨트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한 번 사용하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2011년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표한 개발자 설문 조사의 웹 프레임워크 부문의 결과를 보면, 스벨트는 가장 사랑받는 프레임워크 1위, 가장 원하는 프레임워크 5위에 올라있습니다. 전 세계 개발자들이 스벨트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한 번 사용하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안녕하세요, 줌인터넷 포털개발팀 프론트엔드 파트리더 황준일입니다 🙇♂️ 오랜만에 기술블로그에 투고를 하네요. 어떤 글을 주제로 글을 작성해야 유익할까 꽤 오랜 시간 동안 고민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실무를 하면서 생각보다 꽤 많은 삽질을 했던, SSR(Server Side Rendering)을 주제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트는 모바일 줌...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 처음 등장한 1991년에는 CSS(Cascading Style Sheets)가 없었습니다. 웹 이용자들이 늘어나면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커졌고 웹 고안자들은 HTML을 꾸며주는 언어의 필요성을 공감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1996년 CSS가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웹이 점점 복잡해지고 ...
파일럿 프로젝트 줌인터넷 서비스개발팀 프론트엔드 파트 주니어 개발자들(재민, 도경, 정훈)이 수습 기간 동안진행했던 파일럿 프로젝트 입니다. 진행된 프로젝트는 GitHub 레포지토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프로젝트 개요 1.1 프로젝트 주제 1.2 요구사항 1.3 프로젝트 기능소개 협업 방법 프로젝트 구조 3.1 프로젝트 전체 구조 3.2 패...
본 포스트는 기술적인 내용이 아닌, 주니어 개발자인 필자가 함께 일하게 될 신입 개발자 분들을 모시는 과정에 대해 소개하는 글입니다. 1. 변화, 그리고 모집 올해 들어 줌인터넷에는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먼저 줌 닷컴의 대대적인 개편이 있었습니다. Spring Boot 로 작성 된 레거시 프로젝트를 버리고, nodejs + vuejs 를 적...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타입스크립트(TypeScript)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기반으로 정적 타입 문법을 추가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요즘은 대형 SI 프로젝트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개발자 구인 시 우대사항 기술로도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올리브영 모바일 앱에서 안드로이드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의지수입니다. 오늘은 5월달에 열렸던 Google I/O 2021에서 소개된 안드로이드12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Google I/O 2021 Google I/O…